IT 인프라, IT 환경을 운영하기 위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IT의 아는 것을 넓혀가는 룰루르루입니다!
오늘은 "IT 환경의 필수 요소 , IT 인프라"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아직 배워가는 중이라 잘못된 정보가 있거나 보완할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T 인프라란?
IT 인프라(IT Infrastructure)란 엔터프라이즈 IT 환경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구성 요소, 운영 체제(OS), 스토리지, 데이터 센터 및 보안 시스템 등 IT 환경에 녹아있는 전체적인 기술적 토대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나 개인이 IT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이 IT 인프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IT 인프라의 주요 구성 요소
IT 인프라는 크게 물리적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인프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물리적 인프라(하드웨어)
현실 상에 존재하는 물리적 시스템과 장치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작게는 개인용 컴퓨터나 휴대폰에서 서버, 스위치, 넓게는 데이터센터도 포함됩니다.
범위를 확장하면 데이터센터를 보관하고, 냉각하고, 동력을 공급하는 시설 또한 인프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서버(컴퓨터):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역할
- 스토리지(저장 장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공간
-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스위치 등):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함
- 데이터 센터: 대규모의 IT 장비들을 운영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
2️⃣ 소프트웨어 인프라
하드웨어 상에 데이터로 존재하는 인프라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시스템의 리소스와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OS부터 응용 프로그램 등이 포함됩니다.
- 운영체제(OS): 서버와 장비를 제어하는 기본 소프트웨어
-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 가상화 및 컨테이너 기술(VM, Docker, Kubernetes 등):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가능하게 함
- 보안(방화벽, 암호화, 접근 제어 등): IT 인프라를 보호하는 역할
이후로는 IT 인프라를 보는 시각에 따라 하드웨어를 서버(컴퓨팅), 네트워킹(데이터 통신), 스토리지(데이터 저장)으로 더 세부적으로 나눌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도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으로 깊게 나누기도 합니다.
🚀 IT 인프라 유형의 변화
🔹 전통적인 인프라
- 조직이 필요한 모든 장비를 소유하는 방식
- 모든 자원을 통제하여 보안상의 이점과 서버 및 시스템의 유지 관리의 비용만 지불
- 초기 구성 비용이 비싸고, 인프라 확장 시 물리적 공간이 필요
이 밖에도 전통적인 인프라와 같이 회사가 장비를 소유하는 방식은 장비 배송으로 서비스 확장에 지연이 발생하거나, 서비스 규모 축소 시 잉여 자원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 (HCI)
- 가상화 OS가 탑재된 다수의 고성능 서버를 단일 시스템으로 묶어 가상의 머신(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방식
- 모든 IT 인프라를 보유하는 대신 가상화 기술을 활용해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 조직의 비즈니스가 전통적인 인프라 환경에서 구성된 경우 확장성을 위해 많이 채택하는 방식
전통적인 인프라에서 다양한 장비 사용으로 인해 복잡해진 운영 과정을 간소화하고 효율적으로 바꿔주는 방식으로
현재도 서버를 일정 부분 보유하고 있는 On-Premise 환경에서 많이 채택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 클라우드 인프라
- 데이터 센터 규모의 IT 인프라를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구성하여 필요한 만큼 IT 인프라를 구성하고 사용하는방식.
- 클라우드 컴퓨팅은 가상화, 컨테이너 기술을 기반으로 수 천 이상의 IT 인프라를 하나의 클라우드로 구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팅 자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방식
쉽게 말해 서버를 기업에서 직접 보유하는 대신 AWS, Azure, GCP 같은 CSP의 컴퓨팅 자원을 임대하거나,
IDC에 구성된 자사의 리소스를 필요한 만큼 프로비저닝 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미 서버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대규모 조직 혹은 초기에 서버 보유가 어려운 스타트업에서 많이 채택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처럼 현대의 IT 인프라는 4차 산업혁명 이후 대규모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서비스들이 많아짐에 따라 다뤄야 하는 요소들이 더 많고 복잡해진 반면, 자동화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운영을 필수 요소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 IT 인프라의 중요성
✅ IT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
- 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시스템(웹사이트, 이메일, 클라우드 서비스 등)은 IT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만 원활하게 운영됩니다.
-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으면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서비스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효율적인 IT 관리 및 확장성
- 잘 설계된 IT 인프라는 필요할 때 빠르게 확장할 수 있어, 기업의 성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기술(AWS, Azure, GCP 등)이 발전하면서, 더 유연하고 효율적인 IT 인프라 구축이 가능해졌습니다.
✅ 보안 및 데이터 보호
- 기업과 개인이 보유한 데이터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인프라가 필수적입니다.
-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IDS), 백업 시스템 등의 보안 기술이 IT 인프라에 포함됩니다.
IT 인프라는 모든 IT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가상화, 자동화 등의 발전으로 IT 인프라는 점점 더 효율적이고 유연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IT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한 전문 인력이 필수였지만,
최근에는 DevOps 방식이 도입되며 개발하듯이 코드를 이용해 IT 인프라를 자동으로 구성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즉, 이제는 "IT 인프라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며, 전문 인력이 직접 관리하는 방식 대신 코드와 자동화 도구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DevOps가 무엇인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트에서 살짝 맛보기 하셔도 좋습니다!
🚀 DevOps, 개발과 운영이 합쳐진 혁신적인 접근 방식
안녕하세요~ IT의 아는 것을 넓혀가는 룰루르루입니다!오늘은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DevOps"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책 "DevOps의 모든것"을 읽고, DevOps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기
swhwang.tistory.com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T 인프라: IT 분야에서의 상세 정보와 직업 발전 기회
IT 인프라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리소스 및 서비스와 같은 조직의 중요한 자산들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이러한 구성 요소나 자산을 사용하
bap-software.net
IT 인프라란?- IT 인프라 설명 - AWS
IT 인프라는 조직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가리킵니다. 여기에는 하드웨어, 네트워킹 구성 요소, 운영 체제, 데이터 스토리지, 조직에서 IT 서비
aws.amazon.com
IT 인프라란 - 개념, 운영, 구조, 보안 및 관리
IT 인프라(infrastructure)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구성 요소 등 엔터프라이즈 IT 환경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를 뜻합니다.
www.redhat.com
IT 관리의 이해
현대의 역동적인 환경에서는 엔터프라이즈 IT 환경 전반에서 속도를 향상하고, 확장을 지원하고,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관리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www.redhat.com
HCI(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란? | 용어 해설
HCI(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는 스토리지, 컴퓨팅, 네트워킹을 단일 시스템으로 결합하는 IT 프레임워크입니다.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 HPE 대한민국
www.hpe.com